– 주최 : 다자간인터넷거버넌스협의회(KIGA)
– 공동주관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미래인터넷포럼, ISOC Korea, Korea IETF 포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가비아, 구글코리아, 네이버, 카카오, (사)한국인터넷기업협회, 오픈넷, 정보공유연대 IPLeft, 정보인권연구소, 진보네트워크센터, 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커먼즈 코리아, (사)한국호스팅도메인협의회, 법무법인(유)한결, 사이버커먼즈,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사)한국인터넷윤리진흥협회
– 후원 : 미래창조과학부, 네이버, 카카오, 가비아, 법무법인(유)한결
2016년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주최 및 주관, 후원
2015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IGF)에서 논의될 워크샵을 제안 받습니다!
2015 한국 IGF 공동 주관 참여 요청
1.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 IGF)은 정부, 기업, 시민사회, 학계, 기술 커뮤니티, 이용자 등 다자간(multi-stakeholder)의 정책 대화를 위해 만들어진 포럼입니다. 지난 2005년 개최된 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WSIS)의 결과 문서인 튀니스 어젠더(Tunis Agenda)의 72항에 따라 2006년 아테네에서 처음 개최되었습니다. 올해에는 11월 10-13일, 브라질 주앙페소아에서 10차 IGF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인터넷 거버넌스 오픈포럼 개최
인터넷 거버넌스 오픈포럼 개최
취지
2014년 하반기에도 세계 인터넷 거버넌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굵직한 행사들이 많았습니다. 9월에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9차 인터넷거버넌스포럼이 개최되었고, 이어 10월에는 51차 ICANN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두 행사에서 모두 내년 9월로 예정된 IANA 이양(transition) 관련한 의견 수렴이 진행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부산에서 ITU 전권회의가 개최되었는데, 핵심적인 쟁점 중의 하나가 인터넷 관련 공공정책 문제입니다.
2014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사진
[보도자료] 2014년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개최
첨부파일 : IGFKR보도자료20140627
발신 :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조직위원회
수신 : 각 언론사 사회부, IT 담당
날짜 : 2014년 6월 27일(금)
제목 : 2014년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개최
담당 : 오병일 (진보네트워크센터, antiropy@gmail.com, 02-774-4551)
이민애 (네이버, minae.lee@navercorp.com, 031-784-4731)
1. 귀 언론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2014년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이 다음과 같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2014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참여와 협력을 통한 인터넷 거버넌스”
2014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동영상
2014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프로그램
프로그램 및 일정
시간 | 프로그램 | 발표 및 사회 |
9:30 – 10:00 | 참가자 등록 | |
10:00 – 10:30 | 개회식 |
송경희(미래창조과학부 인터넷정책과 과장) |
10:30-10:50 | 기조 강연: Multi-stakeholder Model – under development | 전길남(KAIST 교수, Cybercommons Korea) |
11:00 – 12:30 | [워크샵 1]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ICANN) 및 인터넷할당번호관리기관(IANA) 국제화 논의의 쟁점과 한국의 입장 |
– 사회 : 이영음 (방송통신대 교수) – 발표 : 이동만 (KAIST 교수) – 패널 : 전응휘(오픈넷), 황인표(KISA) – 주요 쟁점 ICANN 국제화, IANA transition 관련 국제동향 및 쟁점 소개 ICANN 국제화, IANA trasnsition 관련 한국의 입장 논의 |
12:30 – 1:30 | 점심식사 (간단한 식사 제공) | |
1:30 – 3:00 | [워크샵 2]기존의 인터넷 공공정책 수립 과정에 대한 평가 |
– 사회 : 윤종수 (변호사, CC Korea) – 패널 : 정찬모(인하대), 김경태(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오병일(진보네트워크센터) – 주요 쟁점 멀티스테이크홀더 모델(Multi-stakeholder model)의 의미와 한계 인터넷 주소정책 및 다른 인터넷 공공정책의 수립 과정과 관련하여 기존 국내 관행에 대한 평가 |
3:00 – 3:30 | 휴식 | |
3:30 – 5:00 | [워크샵 3]국내 다자간 인터넷 정책 협의 플랫폼 구축 방안 |
– 사회 : 전응휘 (오픈넷) – 발표 : 김보라미 (변호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 주요 쟁점 국내 다자간 인터넷정책 협의 플랫폼의 필요성 국내 다자간 인터넷정책 협의 플랫폼 운영원칙 이해당사자 그룹(stakeholder)의 구분과 역할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의 의미, 역할, 운영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