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차_KrIGF_프로그램위원회_회의록(안)_0330
□ 지난 회의록 검토
o 특이사항 없음
□ Action Item
o (사무국)
– 서울창업허브 대관
– 영문번역 관련 업체를 통한 견적 확인
– 기존의 워크숍을 제안했던 단체에 워크숍 제안요청 공문 발송
– 서포터즈 홍보 및 모집
□ 회의 주요내용
o 2018년 KrIGF 장소 확정
– (연세대) 7월 6일 백양누리 그랜드 볼룸 홀 예약불가
제27차_KrIGF_프로그램위원회_회의록(안)_0330
□ 지난 회의록 검토
o 특이사항 없음
□ Action Item
o (사무국)
– 서울창업허브 대관
– 영문번역 관련 업체를 통한 견적 확인
– 기존의 워크숍을 제안했던 단체에 워크숍 제안요청 공문 발송
– 서포터즈 홍보 및 모집
□ 회의 주요내용
o 2018년 KrIGF 장소 확정
– (연세대) 7월 6일 백양누리 그랜드 볼룸 홀 예약불가
제26차_KrIGF_프로그램위원회_회의록(안)_0222
□ Action Item
o 2018 KrIGF 개최 장소 표로 정리
o 3월 중, 워크숍 공개 모집 개시하고 KrIGF 계정으로 공유 예정
o 프로그램 트랙을 먼저 정하고, 워크숍을 배치 예정
o 2017 KrIGF 참여자에게 KrIGF 프로그램위원회에 참여해줄 것을 요청
□ 회의 주요내용
o 위원별 역할 분담
– (프로그램 구성(워크숍 공개모집 등)) 김태은 위원
– (기획세션, 투토리얼 세션, 주제, 슬로건 등 구성) 차재필 위원, 이상협 위원
지난 7월 5일(목)에 개최되었던 제7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IGF)의 각 워크숍별 발표자료와 서포터즈가 작성한 워크숍 보고서(업데이트 예정)가 홈페이지에 게시되었습니다.
[2018 트랙] 메뉴에서 각 워크숍별 게시물을 클릭(Read More)하면 발표자료와 보고서를 확인 가능하시며, 아래 링크로도 각 워크숍별 게시물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워크숍 1 : http://igf.or.kr/1771
-워크숍 2 : http://igf.or.kr/1769
-워크숍 3 : http://igf.or.kr/1766
-워크숍 4 : http://igf.or.kr/1762 (발제 없는 토론 중심 워크숍)
-워크숍 5 : http://igf.or.kr/1760 (발제 없는 토론 중심 워크숍)
-워크숍 6 : http://igf.or.kr/1757 (발표자료 업데이트 예정)
-워크숍 7 : http://igf.or.kr/1753
-워크숍 8 : http://igf.or.kr/1749
-워크숍 9 : http://igf.or.kr/1746 (발표자료 업데이트 예정)
-투토리얼 1 : http://igf.or.kr/1743
-투토리얼 2 : http://igf.or.kr/1739
-투토리얼 3 : http://igf.or.kr/1735
-투토리얼 4 : http://igf.or.kr/1731
2018 제7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 생중계가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중계됩니다.
https://www.facebook.com/groups/igf.kr
행사 종료 후 위 페이지에서 KrIGF 영상을 다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정배(사이버커먼스 활동가)
– 이동만(KIGA 위원장 및 KAIST 교수)
– 전길남(KAIST 명예교수)
– 민병두(더불어민주당 의원)
[공공계] 이계남(한국인터넷진흥원 단장)
[학계] 이영음(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기술계] 오익균(前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부소장)
[산업계] 차재필(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장)
[시민사회] 윤복남(법무법인(유) 한결 변호사)
2018 KOREA INTERNET GOVERNANCE FORUM
트랙1(세미나실 1 9F) | 트랙2(세미나실 3 9F) | 트랙3(세미나실 4 9F) | 트랙4(IR 미디어룸 2F) |
인터넷 경제 | 인권 | 거버넌스 | Tutorial(강좌) |
시간 | 내용 | |||
09:30-10:00(‘30) | 등록(10F) | |||
10:00-10:45(‘30) | 개회식(10F 컨퍼런스홀) | |||
10:45-11:00(‘15) | 휴식 | |||
11:00-12:30(‘90) | 워크숍 1 금융서비스의 혁신과 안정화를 위한 핀테크&레그테크 |
워크숍 2 누구를 위한 인터넷 검열인가? |
워크숍 3 한글 및 한자 최상위 도메인 관련 국내 커뮤니티 의견 수렴 |
Tutorial 1 인공지능과 오픈데이터 (부제: 인공지능과 데이터는 만나야 합니다.) |
12:30-13:30(‘60) | 점심식사(3F 키친 인큐베이팅) | |||
13:30-15:00(‘90) | 워크숍 4 사용자 중심의 뉴스 서비스 미래 |
워크숍 5 인터넷 본인확인기관 제도의 필요성과 문제점 |
워크숍 6 데이터 거버넌스: 소셜 네트워크와 프라이버시 |
Tutorial 2 Tutorial 3 |
15:00-15:15(‘15) | 휴식 | |||
15:15-16:45(‘90) | 워크숍 7 망사용료 역차별 문제: 상호접속기준 고시 문제인가 망중립성 문제인가? |
워크숍 8 혐오발언과 표현의 자유 사이 |
워크숍 9 인공지능(AI)의 활용과 우리가 바라는 미래 사회 |
Tutorial 4 (15:50~16:50) 스타트업: 2018 트랜드& 이슈 살펴보기 |
□ 제안 취지 및 주요 쟁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T 산업의 발전으로 금융 서비스 또한 지능화, 자동화 되고 있다. 특히, 지난 몇 개월간 전세계의 관심이 집중되었던 가상화폐라는 새로운 금융 상품과 그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은 금융서비스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동시에 안전한 금융 서비스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체 인증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추구하는 핀테크(Fintech)와 금융 기관 및 서비스에 대한 금융당국의 효과적인 법률 규제 및 이용자 보호를 추구하는 레그테크(RegTech) 개념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것이 국내외 금융 컴플라이언스의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제안 취지 및 주요 쟁점
2011년 구글이 자사의 투명성보고서를 통해 정부의 인터넷 검열/감시 행태를 공유한 이후, 현재 전세계 68개 기업을 포함한 여러 단체에서 투명성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Transparency Reporting Index 2018). 현재 발간되는 대부분의 투명성보고서가 대부분 기업 내부 통계에 기초하고 있는 반면, 홍콩, 대만, 한국의 시민사회 단체는 정부가 공개하는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투명성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인터넷 검열 및 감시를 수행하는 주체인 정부의 데이터는 해당 관할권 내 인터넷 규제를 보다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 제안 취지 및 주요 쟁점
– 최상위 도메인에서 한글 및 한자 도메인 허용 문제, 한글과 한자 사이의 이체자 문제 등과 관련하여 국내 커뮤니티 의견 수렴
– 한글 글자마디 11,172 자와 한자4,758 자 목록
– 이체자 묶음: 한자 이체자 묶음 152개, 한글-한자 사이의 이체자 묶음 5개.
– 한글과 한자를 섞은 gTLD가 필요한가? 보기: “데이터베이스硏究室”
– 조금 다르지만 연관된 주제: .kr/.한국 아래에 한자 도메인 또는 한글과 한자를 섞은 도메인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